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을 처음 하시는 분들, 주린이 분들을 위해서 주식 관련 용어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주식 프로그램 화면에서 예수금 탭에서 볼 수 있는 관련 용어들을 이번에 한 번 정리해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해요~~ 물론 요즘 장이 안 좋아서 저도 몸을 사리고 있는 중이지만, 바닥이 있다면 또 찍고 올라가는 날도 있으니 그날을 위해 저희가 으쌰 으쌰 해야겠죠?? 꾸준하게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지금은 해야 할 일인 것 같습니다. 또한 현금 보유와 더불어서 주식에 대한 공부를 해서 미래를 위한 발판을 마련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비슷하게 주식 용어를 정리하는 포스팅을 한 적이 있습니다. 저와 비슷한 초보 주식하시는 분이라면 같이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주식 용어 정리 PER, PBR, ROE - https://hprofessional.tistory.com/m/87
주식 용어정리 PER, PBR, ROE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린이 투자일기를 써보려 합니다. 요즘 장이 안좋아서 당장에 투자할 것도 아니지만, 꾸준히 공부를 하는 자만이 추후에 기회를 잡을 수 있겠죠?? 위기에도 총알을 장전(자
hprofessional.tistory.com
예전 포스팅에서 PER, PBR, ROE에 대해서 공부했다면 이번에는 예수금, 증거금, 미수금 등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예수금
예수금은 개설된 증권사 계좌에 입금되어 있는 금액 중에서 아직 매매를 하지 않은 예비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제가 1,000만 원 정도를 주식을 매매할 생각으로 계좌에 입금해놓고, 그중에서 600만 원 정도만 주식을 매수한다면,,,? 남은 400만 원은 예수금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일종의 주식을 거래하기 위한 총알이라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대용금
대용금은 저도 이번에 처음 알게 된 개념입니다. 현재 보유 중인 주식을 전일 종가 기준 70% 정도로 환산하여 평가한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전일 종가 기준 1,000만 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면 대용금 화면에는 70% 환산하여 700만 원 정도가 표시됩니다. 대용금의 경우에는 주식 매수를 할 때 증거금을 일부 대신하여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3. 증거금
이번에는 증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을 매수할 때 아까 예수금으로 매수를 한다고 말씀드렸잖아요? 하지만 증거금을 사용한다면, 예수금보다 더 많은 양의 주식을 주문할 수가 있습니다. 증거금은 주식을 매수할 때 전체 매수금액 중에서 내가 미리 내야 하는 금액이라고 볼 수 있어요. 보증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고, 종목마다 증거금률이 달라요.
한국의 주식은 3 영업일째에 결제가 되므로 증권사 입장에서는 지금 돈이 없는 사람을 거래를 해줄 수가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보증금의 개념으로 증거금이 있습니다. 증거금률이 20%인 경우에는 출금 가능 금액이 80만 원이 됩니다.

4. 미수금
미수금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해드렸던 대용금과 증거금을 써서 주식을 매수했을 때, 2일 이내에 그 나머지 금액을 증권사 계좌에 넣지 못했을 시에, 그 금액이 없을 때 발생하는 금액입니다. 쉽게 말해서 외상이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이럴 때에는 현금을 계좌에 이체해서 예수금을 만들어도 되고, 다른 주식을 매도해서 예수금을 만들어서 채워 넣어도 돼요!!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 미수금을 채워 넣지 못하면, 증권사에서 주식을 강제로 처분하여 미수금을 회수해갑니다. 이럴 경우에는 투자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무조건 매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해를 보실 수도 있습니다.
5. 인출 가능금
인출 가능금의 경우는 현재 계좌의 예수금 중에서 현금으로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주식을 우리가 매도했다고 해서 바로 인출 가능한 게 아니고 2일 이후에 출금이 가능하니까 그 금액을 인출 가능금이라 볼 수 있겠죠.
이상 주식과 관련된 몇몇 용어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이외에도 여러 단어들이 있습니다. 또한 몇몇 개념들을 살펴볼 때, 주식을 바로 매도했다고 해서 완전히 거래가 성립한 것은 아닌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완전히 우리가 거래 성립하는 데는 총 2일이 걸립니다. 그래서 계좌에서 예수금을 확인할 때 오늘을 기준으로 D+1 날짜의 예수금과 D+2 날짜의 예수금 각각 확인이 가능합니다. 만약에 그래서 여러분들이 주식을 사기 위해 예수금이 얼마나 필요한 지 알고 싶으시다면 D+2일 차 예수금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예수금, 미수금, 증거금 등 주식을 할 때 꼭 필요한 용어들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러분들도 무지 성 투자가 아닌 공부하는 투자법을 함께 익히셨으면 좋겠습니다!!
'초보 투자일지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배당일! 배당소득세 절세법! (0) | 2022.11.14 |
---|---|
우리사주제도란? ESOP 좋은 점이 무엇인가… (0) | 2022.10.21 |
주식 용어정리 PER, PBR, ROE (0) | 2022.10.04 |
공모주 일정 확인 사이트(10월 공모주 일정 확인) (1) | 2022.09.24 |
ETF(S&P 500) 매수하는 방법 및 ETF로 미래 대비하기 (1) | 2022.09.09 |
댓글